티스토리 뷰

반응형

1과목: 식품위생학

1. 민물고기를 생식할 일이 없는데도 간흡충에 감염될 수 있는 경우는?

덜 익힌 돼지고기를 섭취

민물고기를 취급한 도마를 통한 감염

매운탕 섭취

공기를 통한 감염

 

2. Mycotoxin 중 신장독으로 알려진 성분은?

시트리닌

아플라톡신

파튜린

류테오스키린

 

3. 식품에 존재하는 유독성분과 그 식품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감자-muscarine

면실유-gossypol

수수-amygdalin

독미나리-ergotoxin

 

4. 식품 조리 시 가열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benzo pyrene

paraben

acrylaminde

benzo anthracene

 

5. 식품제조·가공업의 HACCP 적용을 위한 선행요건이 틀린 것은?

작업장은 독립된 건물이거나 식품취급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과 분리되어야 한다.

채광 및 조명시설은 이물 낙하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를 하여야 한다.

선별 및 검사구역 작업장의 밝기는 220룩스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부자재의 입고부터 출고까지 물류 및 종업원의 이동 동선을 설정하고 이를 준수하여야 한다.

 

6. 다이옥신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자동차 배출 가스, 각종 PVC 제품 등 쓰레기의 소각과정에서도 생성된다.

다이옥신 중 2,3,7,8-TCDD가 독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이옥신은 색과 냄새가 없는 고체물질로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증기압이 높다.

환경시료에서 미량의 다이옥신 분석이 어렵다.

 

7. 우유 중에서 많이 발견될 수 있는 아플라톡신은?

B1

M1

G1

B2

 

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독성시험법은?

-비교적 소량의 검체를 장기간 계속 투여하여 그 영향을 검사한다.

-생애의 대부분의 노출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 식품첨가물의 독성을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급성독성시험

아급성독성시험

만성독성시험

최기형성시험

 

9. 식품을 가공하는 종업원의 손 소독에 가장 적합한 소독제는?

역성비누

크레졸

생리식염수

승홍

 

10. 식품용기의 도금이나 도자기의 유약성분에서 용출되는 성분으로 칼슘과 인의 손실로 골연화증을 초례할 수 있는 금속은?

카드뮴

수은

비소

 

11. 경구감염병의 특성과 거리가 먼 것은?

수인성 전파가 일어날 수 있다.

2차 감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미량의 균으로도 감염될 수 있다.

식중독에 비하여 감복기가 짧다

 

12. 다음 설명과 관계 깊은 식중독은?

-호염성 세균이다.

-60정도의 가열로도 사멸하므로, 가열조리하면 예방할 수 있다.

-주 원인식품은 어패류, 생선회 등이다.

살모넬라균 식중독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 식중독

캠필로박터균 식중독

 

13. 인수공통감염병이 아닌 것은?

광견병, 돈단독

브루셀라병, 야토병

결핵, 탄저병

콜레라, 이질

 

14. HACCP시스템 적용 시 준비단계에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하는 절차는?

위해요소분석

HACCP팀 구성

중요관리점 결정

개선조치 설정

 

15. d-멘톨은 식품첨가물 중 어떤 종류에 해당되는가?

보존료

착색료

감미료

향료

 

16. 다음 중 차아염소나트륨 소독 시 비해리형 차아염소산으로 존재하는 양(%)이 가장 많을 때의 pH?

pH 4.0

pH 6.0

pH 8.0

pH 10.0

 

17. 식품에 사용되는 보존료의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독성이 없거나 매우 미미할 것

식품의 물성에 따라 작용이 가변적일 것

미량 사용으로 효과적일 것

장기간 효력을 나타낼 것

 

18. 소독약의 살균력을 평가하는 기준에 사용되는 약제는?

크레졸

질산은

알코올

석탄산

19. 아래에서 설명하는 물질은?

금속제품(캔용기, 병뚜껑, 상수관 등)을 코팅하는 락커, 유아용 우유병, 급식용 식품 및 생수용기 등의 소재에 사용되는 중합체이며, 캔 멸균 시 발생해서 식품에 용출될 가능성이 높은 위해물질로 피부나 눈의 염증, 발열, 태아 발육이상, 피부알레르기 등을 유발한다.

비스페놀 A

다이옥신

PCB

곰팡이 독소

20. 미생물에 의한 부패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미생물에 의하여 식품의 변색, 가스 발생, 점액 생성, 조직 연화 등 부패 현상이 나타난다.

식품의 부패를 예방하기 위하여 보존료를 사용할 수 있다.

냉동처리를 하면 식품의 표면건조를 통해 미생물의 생육을 정지시키며,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부패균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식품기사 정의

국가기술자격 의 하나로 식품 가공 및 기능성 부여, 식품 위생에 관련된 기술을 다루는 기술을 평가한 뒤 식품의약품안전처 이름으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발급한다. 시험은 매해 1, 2, 3회차 때 시험이 치러진다.

주로 식품공학과식품영양학 출신들, 가끔씩은 화학과생명공학과, 조리학과 학생들이 취득하며, 합격률은 40%대[1]로 70-80%대인 식품산업기사에 비해 낮은 편. 이유는 필답형의 어려움과 더불어 준비해야 할 작업형이 까다롭기 때문이다.

필기시험은 기사는 총 5과목, 산업기사는 4과목으로 식품위생학, 식품화학, 식품가공학, 식품미생물학, 생화학 및 발효학 각 20문제씩 출제되며, 식품산업기사는 생화학 및 발효학을 보지 않는다. 기사/산업기사 필기시험이 늘 그렇듯이 각 과목 별로 40점 이상, 전체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필기시험은 문제은행식으로 기출문제와 똑같은 문제가 상당수 나오므로 기출문제를 풀어보는 것이 유리하다.

식품기사 실기는 필답형 45점, 분석화학 실험 30점, 미생물학 실험 25점으로 구성된다. 반면 식품산업기사는 100% 실기이며, 분석화학 실험 60점, 미생물학 실험 40점으로 구성된다. 각 파트별로 점수를 채워 60점을 넘기면 합격.

필답형의 경우는 공부가 무의미하다 싶을 정도로 기출문제에 일관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워낙 식품기사 출제 범위가 광범위하기도 하고 신규 문제가 자주 출몰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필기 때와는 다르게 공부 위주로 파기보다는 최소 필답에서 20점을 건지고, 나머지는 실험 점수에 목을 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그래도 고득점을 위해 필답을 공부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추천하자면 책을 사기보다는 기출문제를 돌리는 편이 낫다. 식약청 홈페이지에 있는 식품공전도 참조해두면 좋다.

실제로 필답을 15점 전후를 맞았지만 실험을 45점 이상을 맞아 합격한 사례가 많을 정도로 작업형 실험이 상대적으로 점수를 후하게 주는 편이다. 단, 식품산업기사는 그런 거 없다. 왜냐하면 필답없이 100% 실기만 보기 때문이다. 그 까닭에 2016년 1회차 식품기사 합격률이 11%인데 반해, 식품산업기사는 80%가 넘었다.

 

질문 있으면 답글 달아주세요~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